자료구조&알고리즘
-
CS186 Introduction to Database systems (1강 - intro)자료구조&알고리즘 2019. 7. 15. 18:34
CS186 Introduction to Database systems 강의 https://youtu.be/y5IShB9ihds 강의 내용 요약 1. 수업의 목차 (Queries for Today) why? what? who? how? for instance? 2. why? - Data is at the center of everything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것을 다 quantify 해서 생각할 수 있다. - 데이터는 어디서 오는가? 사람들이 동시에 키보드를 친다고 해서 그렇게 많은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데이터는 machine으로부터 온다. (오늘날 엄청난 양의 데이터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부분) 3. what? - database is a large collection of stru..
-
원격 데이터 베이스 구성하기 - 1 (가상머신 & OS설치)자료구조&알고리즘 2019. 7. 10. 16:14
가상 머신 & OS 설치 2019.06.27 1. Virtual Box 설치 원격으로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기 위해서 virtual box를 설치한다. 2. OS 다운로드 virtual box로 설치할 os는 cent os를 다운받았지만, 그때 그때 원하는 os를 다운받아 구성하면 된다. centos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해서 다운로드를 진행한다. 3. 가상 머신 생성 Virtual Machine이 설치되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다음의 화면에서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누른다. 새로 만들기 화면의 이름을 CentOS라고 지었더니 아래의 종류와 버전이 자동으로 잡혔다. 아까 다운받은 cent os는 아직 적용하지 않는다. 다음을 눌러서 RAM의 크기를 설정한다. 가상의 하드 시스크를 먼저 생성하였다. 아까..
-
알고리즘 스터디 8회- AWS EC2 instance start 코드 만들기자료구조&알고리즘 2019. 1. 3. 11:00
01/02 오늘의 목표: AWS EC2를 직접 로그인하지 않고도 instance start 코드를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exe 파일로 제공하기! 시도하면서 시행착오를 겪은 과정순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0. AWS 에서 제공하는 예시 코드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APIReference/API_StartInstances.html 이 사이트를 참고하면 다음과 같이 작성하라고 나와있다. https://ec2.amazonaws.com/?Action=StartInstances &InstanceId.1=i-1234567890abcdef0 &AUTHPARAMS # 1. Python requests 모듈 사용 하지만 requests를 이용해서 위의 정보를 넘..
-
윈도우 단축키 정리자료구조&알고리즘 2018. 12. 4. 22:03
윈도우 단축키 정리출처 : http://www.itworld.co.kr/news/101382 윈도우 탐색용 단축키 윈도우 키보드 단축키를 마스터하고 싶다면, 먼저 윈도우 바탕화면부터 시작해야 한다. 다음의 단축키들은 애플리케이션의 창을 쉽게 왔다갔다 하고, 마우스로 움직이지 않아도 빠르게 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 윈도우키+D :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창을 최소화하고 바탕화면으로 이동한다. 다시 이 단축키를 누르면 모든 앱들이 원래대로 복귀된다. • 윈도우키 + , : 빠르게 바탕화면을 미리 볼 수 있다. 키를 놓으면 다시 원상 복귀된다. • 윈도우키 + 왼쪽/오른쪽 화살표 : 애플리케이션의 창을 화면의 왼쪽/오른쪽으로 배치한다. • 윈도우키 + 아래쪽/위쪽 화살표 :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창을 최..
-
알고리즘 기초 유형자료구조&알고리즘 2018. 10. 6. 21:41
★ 백준 알고리즘 기출문제집에 가보면 삼성 기출문제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acmicpc.net/workbook/view/1152) 기출문제 유형알고리즘은 큐스택을 구현할 줄 알아야 한다.정형화된 문제 유형이 있어서 유형만 공부하면 된다.1. DFS, BFS 무조건 2개에서는 나온다. (왼쪽이 스택, 오른쪽이 큐)2. 백트랙킹 (스택)3. 다익스트라: 최소 경로를 찾는 문제 (큐)4. 바이너리 서치: 이분 탐색5. 연결리스트 (자료구조) st (스택), DFS, 백트랙킹은 같은 개념을 공유한다.1, 2, 3을 넣어주면 아래부터 쌓여서 꺼낼 때 3, 2, 1 순으로 꺼내게 되는 것이다. Q (큐), BFS도 같은 개념을 공유한다.1, 2, 3 순으로 넣으면 꺼낼 때도 1, 2, 3 순으..
-
컴퓨터 언어 이해하기 - 바이너리자료구조&알고리즘 2018. 9. 2. 13:27
16진수 표현법 이해하기visual studio code에 .c 확장자 파일을 만들고 # include # include int main(void){system("pause");printf('%d\n',1212);system pause;} 위와 같이 적어준다. 그리고 cmd 창에서 이 파일을 실행해본다.stdio.h는 standard input, output의 줄임말로 컴퓨터의 표준 입출력을 담당하는 모니터와 키보드가 할 수 있는 일을시키는 함수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미리 불러와야한다.include가 import 같이 불러오는 일을 하는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를 불러오기 않으면 printf 기능을 쓸 수 없다. windows.h 또한 시스템 입출력에 관여하는 것으로, 이게 없으면 system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