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 SW 역량테스트 A형 (Advanced 등급)자료구조&알고리즘 2020. 2. 7. 21:14
A형 역대 시험 문제 : https://royhelen.tistory.com/23
A형 시험 신청 방법 환경 등 자세한 설명 : https://eine.tistory.com/entry/%EC%82%BC%EC%84%B1-SW-%EC%97%AD%EB%9F%89-%ED%85%8C%EC%8A%A4%ED%8A%B8A%ED%98%95%EC%97%90-%EA%B4%80%ED%95%98%EC%97%AC-%EA%B3%B5%EB%B6%80%EB%B2%95
A형 공부를 위한 모의 문제: https://www.acmicpc.net/contest/view/396
A형 시험 범위: 완전 탐색 (BFS, DFS) / 시뮬레이션 (이차원 배열)
시간이 부족하다면 BFS DFS 중 BFS 위주로 연습해도 됨 DFS 로 풀리는 문제는 대부분 BFS로도 풀 수 있지만, BFS 로만 풀어야한다면 DFS는 시간초과가 날 수 있다.
BFS는 최단 거리 찾을 때 사용
https://haams704.tistory.com/75
BFS는 너비우선탐색으로 현재 나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노드를 먼저 방문하는 것이다.
방문하면서 현재 위치는 pop해주고 방문한 곳은 체크한 뒤, 방문할 곳은 큐에 넣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미로 탐색과 같은 알고리즘은 최단 거리만을 가지고 탈출하는 것이기에 BFS가 적합합니다.
하지만 가령, 미로탐색을 진행하는데, 이동할 때마다 가중치가 붙어서 이동한다거나, 이동 과정에서
여러 제약이 있을 경우, DFS로 구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탐색 시간은 더 걸리긴 하지만, 가중치에 대한 변수를 지속해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코드 구현 시, 더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디버깅 연습용 링크 하나
디버깅시 포인터 배열의 내용을 보고 싶을 때: https://jacking.tistory.com/577
반응형'자료구조&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101 수업 코드 (0) 2021.11.01 211101 PPT 자료 (0) 2021.11.01 List Comprehension의 어원 (1) 2020.01.10 삼성 SW 역량테스트 B형 (Professional 등급) (0) 2019.12.06 SWEASS MH1821 민국이는 내일 할거야 (0) 2019.10.16 댓글